pISSN: 2288-7857

경찰복지연구, Vol.7 no.1 (2019)
pp.93~110

미군정시대 경찰조직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장승수

(인천연수경찰서, 한세대학교 미래지식교육원 경찰행정․범죄수사학과 겸임교수)

지난 70여 년 동안 국립경찰의 발자취는 우리나라의 헌정사와 마찬가지로 명암과 영욕 으로 엇갈려 왔다. 조국이 해방된 후 정부수립에 이르기까지 우리 경찰은 자주 독립 국가 의 터전을 마련하기 위한 가시밭길을 걸어왔다. 1945년 8월 15일 해방을 맞았으나 1948 년 8월 15일 대한민국정부가 수립될 때까지 3년 동안 미군정하에 있었고 미군정은 1945 년 10월 21일 군정기구에 경무국을 창설하면서 이것이 곧 국립경찰의 모체였다. 1945년 10월 21일 미군정 하에서 경무국으로 출범한 한국경찰은 1946년 9월 미군정 의 13부 6처 중 1개부인 경무부로 재출발하였으며, 동년 12월 27일 군정명령‘경찰조직에 관한 건’에 의하여 도지사 권한에서 경찰행정을 분리, 도경찰부를 독립시키고 산하에 총 무과 등 5개과를 두었다. 1946년 2월 16일 군정명령‘경찰국과 경무부에 관한 건’에 의해 기구 개혁을 단행하여 종래의 경무국을 경무부로 하고 과를 국으로 하는 조직을 개편하 였다. 그 후 1946년 4월 1일 행정기구 개혁으로 각도 경찰부는 관구경찰청으로 개청되고 관구 번호제를 채택하였다. 또한 도관구 경찰청의 총무과는 경무과, 공안과는 보안과로 개칭 되었으며, 동년 7월 1일에는 경무부 공안국에 여자경찰과를 설치하였고, 서울 등의 주요도시에는 각각 여자경찰서 를 신설하는 등 점증하는 경찰행정 수요에 대처해 나갔다. 그러나 미군정이 좌익과의 투쟁을 위해 일제강점기 경찰관 경력이 있는 한국인들을 대거 채용한 것이 문제였다. 일제강점기 경찰관들은 공산주의자들을 단속했던 경험이 있어 이들을 해방 후에도 그대로 채용하여 대 부분의 미군정 경찰관이 일제강점기 경찰관 경력자로 채워졌다. 아울러 독립 이후에도 당시의 사회혼란을 이유로 일제시대의 경찰조직을 그대로 유지 하였고, 이 때문에 경찰의 인적청산을 하지 못하고 그 관리들이 계속해서 관직을 유지함 으로써, 오늘날까지 국민들이 경찰에 대한 불신을 갖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찰의 아픈 역사를 인식하고 되새기며, 치안의 최일선에서 국민의 생 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경찰 본연의 임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끊임없는 노력을 통해 국민 들에게 희망과 신뢰를 받는 경찰조직을 구현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A Study on the Transition Process of the Police Organization in the US Military Government

Jang, SeungSoo

Over the past 70 years, the National Police have crossed between lightness and darkness, similar to the Korean Constitution. From the liberation of our country to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ur police have often walked the path of the thorny land to prepare the land of the independent state. It was liberated on August 15, 1945,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established on August 15, 1948, and was under US military control for three years until October 21, 1945, when the US military established a police bureau. In October 1945, the Korean police officer, who was established as a police bureau under the US Military Government, resumed his departure as a department of police, one of the sixteen departments of the US military in September 1946. On December 27 of the same year, , The police administration was separated from the governor's authority, and the provincial police departments were independent, and there were five departments, including the General Affairs Section. Then, on April 1, 1946,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Reform brought the Angle Police Department to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adopted the number system. In addition, the General Affairs Division was reorganized into the Department of Public Security and the Public Security Division was reorganized into the Security Division. On July 1 of the same year, the Ministry established the Women's Police Department in the Public Security Bureau on July 1, I coped. However, the US military employed a lot of Koreans who had a career as police office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to fight the left wing. Police officer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experience controlling the Communists, so they were recruited after liberation, and most of the US military officers were filled with police officers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addition, after the independence, the police organization in the era of the Japanese occupation remained unchanged because of the social disorder at that time. To this day, it can be said that the people became distrust of the poli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duty of the police to recognize and rehabilitate the illness of the police and to protect the lives and property of the people at the forefront of security and to implement a police organization that receives hope and trust from the people through endless efforts. It is the heart that wants to become the opportunity to do.

Download PDF list





[15852] 경기도 군포시 한세로 30, 한세대학교 경찰행정학과 신현기 교수연구실      [개인정보보호정책]
TEL. 031) 450-5312, 010-5298-5587     Email. jin7499@hanmail.net
Copyright © KOREA ASSOCIATION FOR POLICE WELFARE STUDIES. All rights reserved.